반응형


그래픽은 카툰/ 시점은 역시 1인칭


처음 게임을 시작하면 할머니가 아이들에게 이야기를 해주는 모습이 보이고

할머니가 이야기를 시작할게 하면서 책을 펼치면 흐릿해지면서 플레이 화면으로 이동


이야기는 동화와 같으며 초기에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따라 

게임의 목표가 정해지고, 이를 달성하면 클리어

다시 할머니와 아이들의 방으로 이동됨



여기서 중요한 것은 방의 모습

선택지의 최종은 2가지. 하나는 해피엔딩/ 하나는 배드 엔딩.

해피 엔딩으로 게임을 클리어하면 방의 모습은 그대로. 오히려 조금 밝아져 있고

배드 엔딩으로 게임을 클리어하면 밤의 모습이 달라지죠. 어두워지고 조금 으스스해지는?




스토리는 옴니버스 방식으로, 하나를 클리어하면 다른 내용의 스토리를 진행

그러면서 엔딩이 점점 쌓이면서 방의 모습이 조금씩 변하죠.

마지막 엔딩을 보면 어떤 엔딩들을 했느냐에 따라서 방의 모습이 단계적으로 변한 상태.


해피 엔딩이 많으면 할머니가 잘자렴 아이들아 하고 잠든 아이들을 두고 떠나가고

배드 엔딩이 많으면 할머니가 나감과 동시에 사방에서 붉은 눈들이 등장하며 종료.




한쪽의 엔딩만을 쌓은 경우,

해피는 할머니가 가운데, 좌우에 아이들이 누워서 함께 편하게 자는 모습

배드일 경우, 책을 덮으며 할머니의 모습이 악귀와 같고, 아이들의 목이 플레이어를 향해 돌아가 역시 악귀와 같은 모습





흠.... 스토리 작성하는데 상당한 공을 들이고

플레이어 선택에 따라 게임 형태가 2가지로 나뉘어서 개발이 꽤나 복잡해질 수 있을 듯 하군요.




반응형
by napols 2017. 5. 15. 19:11